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OBV(On Balanced Volume)에 대해 알아보자

by 스탁쌀롱 2021. 12. 31.

지난 시간에는 대표 거래량 기술지표인 CMF에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CMF만큼이나 많이 활용되는 거래량 기술적 지표인 OBV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OBV

OBV란?

OBV는 On Balanced Volume의 약자로 주가와 거래량을 동시에 고려한 기술적지표입니다. 주식이 매수 국면인지 매도 국면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횡보장(Accumulation과 Distribution) 시기에 거래량을 파악하여 주가의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CMF와 더불어 가장 많이 활용되는 거래량 보조지표로 알려져 있습니다.

 

OBV 공식

OBV는 구하는 공식이 아주 간단한 기술적 지표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가(종가 기준의 가격)가 전날보다 상승이었다면 그 거래량을 더하고, 반대로 주가가 전일보다 하락이면 그 거래량을 빼면 끝입니다.

 

만약 오늘 내가 보고 있는 주식의 종가가 어제보다 하락했다면 OBV에다 오늘의 거래량을 빼주면 계산이 완료입니다.  

Case 1. 당일 종가가 전일 종가 대비하여 상승했을 때
OBV = 전일 OBV + 당일의 거래량

Case2. 당일 종가가 전일 종가 대비하여 하락했을 때
OBV = 전일 OBV - 당일의 거래량

 

 

OBV 활용법

이제 OBV를 활용하는 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OBV지표는 절댓값이 중요하기보다는 OBV 그래프의 추세와 주가트렌드의 방향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수와 매도를 고민해야 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매수 고려시기
1) 주가는 상승하고 OBV가 상승하는 경우
2) 주가는 횡보하고 있으나 OBV가 상승하는 경우
3) 주가는 하락하고 있으나 OBV가 상승하는 경우

매도 고려시기
1) 주가는 하락하고 있으나 OBV가 하락하는 경우
2) 주가는 횡보하고 있으나 OBV가 하락하는 경우
3) 주가는 상승하고 있으나 OBV가 하락하는 경우 

 

이외에도 보조지표 설정에서 시그널 라인을 설정하여 OBV를 읽어낼 수 있습니다 시그널선은 9거래일정도로 설정되어지며 OBV가 시그널라인을 돌파하는 지점을 매수시점, 이탈하는 지점을 매도시점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OBV 주의사항

OBV를 사용하실 때 2가지 주의 사항이 있습니다. 먼저  기간을 너무 길게 보면 안 됩니다. OBV를 구하는 공식 자체가 이전의 거래량을 더하는 것이라서 기간이 길어질수록 부정확해집니다. 따라서 OBV는 3년 이하의 기간으로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또한 다른 보조지표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거래량 지표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과열매수와 과열매도를 판단할 수 있는 RSI와 같은 기술적 지표와 함께 사용한다면 OBV를 더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OBV 종합 정리

1) OBV는 매수 거래량과 매도 거래량을 비교한 후 주가의 트렌드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2) 공식은 간단한 편이며 거래량을 축적하여 계산합니다.

3) 적용기간을 너무 길게 보면 부정확해지므로 3년 이하의 기간에서 OBV를 읽어냅니다.

4) 디버전스가 잘 적용되는 지표입니다.

5) OBV의 추세와 주가의 추세를 함께 보면서 매수, 매도시기를 예측해 냅니다.

6) 시그널선을 활용하여 OBV를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7) 주가가 횡보하는 시기에 사용하면 적중률이 높습니다.